帝曰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제왈 인심유위 도심유미 유정유일 윤집궐중
詩曰 上帝臨女 無貳爾心 又曰 無貳無虞 上帝臨女
시왈 상제림여 무이이심 우왈 무이무우 상제림여
詩曰 視爾友君子 輯柔爾顔 不遐有愆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시왈 시이우군자 집유이안 불하유건 상재이실 상불괴우옥루
無曰不顯 莫予云覯 神之格思 不可度思 矧可射思
무왈불현 막여운구 신지격사 불가도사 신가사사
易乾之九二 子曰 庸言之信 庸行之謹 閑邪存其誠
역건지구이 자왈 용언지신 용행지근 한사존기성
易坤之六二曰 君子 敬以直內 義以方外 敬義立而德不孤 直方大不習無不利 則不疑其所行也
역곤지육이왈 군자 경이직내 의이방외 경의립이덕불고 직방대불습무불리 즉불의기소행야
損之象曰 山下有澤 損 君子以 懲忿窒慾
손지상왈 산하유택 손 군자이 징분질욕
益之象曰 風雷益 君子以 見善則遷 有過則改
익지상왈 풍뢰익 군자이 견선즉천 유과즉개
復之初九曰 不遠復 無祗悔 元吉
복지초구왈 불원복 무지회 원길
子曰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
자왈 안씨지자 기태서기호 유불선 미상불지 지지 미상부행야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자절사 무의 무필 무고 무아毋 史記 作無
무 사기 작무
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위기유기 이유인호재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안연왈 청문기목 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안연왈 회감불민 청사사어의
仲弓問仁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
중궁문인 자왈 출문여견대빈 사민여승대제 기소불욕 물시어인 재방무원 재가무원 중궁왈 옹수불민 청사사어의
中庸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중용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 君子 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 군자 계신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 君子 愼其獨也
막현호은 막현호미 고 군자 신기독야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지달도야 치중화 천지위언 만물육언
詩云 潛雖伏矣 亦孔之昭 故 君子 內省不疚 無惡於志 君子之所不可及者 其惟人之所不見乎
시운 잠수복의 역공지소 고 군자 내성불구 무오어지 군자지소불가급자 기유인지소불견호
詩云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故 君子 不動而敬 不言而信
시운 상재이실 상불괴우옥루 고 군자 불동이경 불언이신
大學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惡臭 如好好色 此之謂自謙 故 君子 必愼其獨也
대학 소위성기의자 무자기야 여오악취 여호호색 차지위자겸 고 군자 필신기독야
小人閒居 爲不善 無所不至 見君子而后 厭然 揜其不善 而著其善 人之視己 如見其肺肝然 則何益矣 此謂誠於中 形於外 故 君子 必愼其獨也
소인한거 위불선 무소부지 견군자이후 염연 엄기불선 이저기선 인지시기 여견기폐간연 즉하익의 차위성어중 형어외 고 군자 필신기독야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 富潤屋 德潤身 心廣體胖 故 君子 必誠其意
증자왈 십목소시 십수소지 기엄호 부윤옥 덕윤신 심광체반 고 군자 필성기의謙 讀爲慊
겸 독위겸
所謂修身在正其心者 身(心)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此謂修身 在正其心
소위수신재정기심자 신(심)유소분치 즉부득기정 유소공구 즉부득기정 유소호요 즉부득기정 유소우환 즉부득기정 심부재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차위수신 재정기심
樂記 君子曰 禮樂 不可斯須去身
악기 군자왈 예악 불가사수거신
致樂以治心 則易直子諒之心 油然生矣 易直子諒之心 生則樂 樂則安 安則久 久則天 天則神
치악이치심 즉역직자량지심 유연생의 역직자량지심 생즉락 락즉안 안즉구 구즉천 천즉신
天則不言而信 神則不怒而威 致樂以治心者也
천즉불언이신 신즉불노이위 치악이치심자야
致禮以治躬 則莊敬 莊敬則嚴威
치례이치궁 즉장경 장경즉엄위
中心斯須不和不樂 而鄙詐之心入之矣 外貌斯須不莊不敬 而易慢之心入之矣
중심사수불화불락 이비사지심입지의 외모사수불장불경 이역만지심입지의
故 樂也者 動於內者也 禮也者 動於外者也 樂極和 禮極順 內和而外順 則民瞻其顔色而弗與爭也 望其容貌而民不生易慢焉
고 악야자 동어내자야 예야자 동어외야자 악극화 예극순 내화이외순 즉민첨기안색이불여쟁야 망기용모이민불생역만언
故 德 輝動於內 而民莫不承聽 理發諸外 而民莫不承順
고 덕 휘동어내 이민막불승청 이발제외 이민만불승순
故曰 致禮樂之道 擧而錯之天下 無難矣
고왈 치예악지도 거이착지천하 무난의
君子 反情以和其志 比類以成其行
군자 반정이화기지 비류이성기행
姦聲亂色 不留聰明 淫樂慝禮 不接心術
간성난색 불류총명 음락특례 부접심술
惰慢邪僻之氣 不設於身體
타만사벽지기 불설어신체
使耳目鼻口心知百體 皆由順正 以行其義
사이목구비심지백체 개유순정 이행기의
君子 樂得其道 小人 樂得其欲
군자 락득기도 소인 락득기욕
以道制欲 則樂而不亂 以欲忘道 則惑而不樂
이도제욕 즉락이불난 이욕망도 즉혹이불락
孟子曰 人皆有不忍人之心
맹자왈 인개유불인인지심
先王 有不忍人之心 斯有不忍人之政矣 以不忍人之心 行不忍人之政 治天下 可運之掌上
선왕 유불인인지심 사유불인인지정의 이불인인지심 행불인인지정 치천하 가운지장상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 今人 乍見孺子將入於井 皆有怵惕惻隱之心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 非惡其聲而然也
소이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 금인 사견유자장입어정 개유출척측은지심 비소이내교어유자지부모야 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 비오기성이연야
由是觀之 無惻隱之心 非人也 無羞惡之心 非人也 無辭讓之心 非人也 無是非之心 非人也
유시관지 무측은지심 비인야 무수오지심 비인야 무사양지심 비인야 무시비지심 비인야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知之端也
측은지심 인지단야 수오지심 의지단야 사양지심 예지단야 시비지심 지지단야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인지유시사단야 유기유사체야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 自賊者也 謂其君不能者 賊其君者也
유시사단이자위불능자 자적자야 위기군불능자 적기군자야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 火之始然 泉之始達
범유사단어아자 지개확이충지의 약 화지시연 천지시달
苟能充之 足以保四海 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
구능충지 족이보사해 구불충지 부족이사부모
孟子曰 矢人 豈不仁於函人哉 矢人 惟恐不傷人 函人 惟恐傷人 巫匠亦然 故術不可不愼也
맹자왈 시인 기불인어함인재 시인 유공불상인 함인 유공상인 무장역연 고술불가불신야
孔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智
공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夫仁 天之尊爵也 人之安宅也 莫之禦 而不仁 是不智也
부인 천지존작야 인지안댁야 막지어 이불인 시부지야
不仁不智無禮無義 人役也
불인부지무례무의 인역야
人役而恥爲役 由 弓人而恥爲弓 矢人而恥爲矢也
인역이치위역 유 궁인이치위궁 시인이치위시야
如恥之 莫如爲仁
여치지 막여위인
仁者如射 射者 正己而後發 發而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
인자여사 사자 정기이후발 발이부중 불원승기자 반구저기이이의
孟子曰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
맹자왈 대인자 불실기적자지심자야
孟子曰 牛山之木嘗美矣 以其郊於大國也 斧斤伐之 可以爲美乎
맹자왈 우산지목상미의 이기교어대국야 부근벌지 가이위미호
是其 日夜之所息 雨露之所潤 非無萌蘖之生焉 牛羊又從而牧之
시기 일야지소식 우로지소윤 비무맹얼지생언 우양우종이목지
是以 若彼濯濯也 人見其濯濯也 以爲未嘗有材焉 此豈山之性也哉
시이 약피탁탁야 인견기탁탁야 이위미상유재언 차기산지성야재
雖存乎人者 豈無仁義之心哉
수존호인자 기무인의지심재
其所以放其良心者 亦猶斧斤之於木也 旦旦而伐之 可以爲美乎
기소이방기양심자 역유부근지어목야 단단이벌지 가이위미호
其日夜之所息 平旦之氣 其好惡與人相近也者幾希 則其旦晝之所爲有梏亡之矣
기일야지소식 평단지기 기호오여인상근야자기희 즉기단주지소위유곡망지의
梏之反覆 則其夜氣不足以存 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
곡지반복 즉기야기부족이존 야기부족이존 즉기위금수불원의
人見其禽獸也 而以爲未嘗有才焉者 是豈人之情也哉
인견기금수야 이이위미상유재언자 시기인지정야재
故苟得其養 無物不長 苟失其養 無物不消
고구득기양 무물부장 구실기양 무물불소
孔子曰 操則存 舍則亡 出入無時 莫知其鄕 惟心之謂與
공자왈 조즉존 사즉망 출입무시 막지기향 유심지위여
孟子曰 仁 人心也 義 人路也
맹자왈 인 인심야 의 인로야
舍其路而不由 放其心而不知求 哀哉
사기로이불유 방기심이불지구 애재
人 有雞犬放 則知求之 有放心 而不知求
인 유계견방 즉지구지 유방심 이부지구
學問之道 無他 求其放心而已矣
학문지도 무야 구기방심이이의
孟子曰 今有 無名之指 屈而不信 非疾痛害事也 如有能信之者 則不遠秦楚之路 爲指之不若人也
맹자왈 금유 무명지지 굴이불신 비질통해사야 여유능신지자 즉불원진초지로 위지지불약인야
指不若人 則知惡之 心不若人 則不知惡 此之謂不知類
지불약인 즉지오지 심불약인 즉부지오 차지위부지류
孟子曰 人之於身也 兼所愛
맹자왈 인지어신야 겸소애
兼所愛則兼所養也 無尺寸之膚 不愛焉 則無尺寸之膚 不養也
겸소애즉겸소양야 무척촌지부 불애언 즉무척촌지부 불양야
所以考其善不善者 豈有他哉 於己取之而已矣
소이고기선불선자 기유타재 어기취지이이의
體有貴賤 有小大 無以小害大 無以賤害貴
체유귀천 유소대 무이소해대 무이천해귀
養其小者爲小人 養其大者爲大人
양기소자위소인 양기대자위대인
今有場師 舍其梧檟 養其樲棘 則爲賤場師焉
금유장사 사기오가 양기이극 즉위천장사언
養其一指 而失其肩背而不知也 則爲狼疾人也
양기일지 이실기견배이부지야 즉위낭질인야
飮食之人 則人賤之矣 爲其養小以失大也
음식지인 즉인천지의 위기양소이실대야
飮食之人 無有失也 則口腹 豈適爲尺寸之膚哉
음식지인 무유실야 즉구복 기적위척촌지부호
公都子問曰 鈞是人也 或爲大人 或爲小人 何也
공도자문왈 균시인야 혹위대인 혹위소인 하야
曰 從其大體爲大人 從其小體爲小人
왈 종기대체위대인 종기소체위소인
曰 鈞是人也 或從其大體 或從其小體 何也
왈 균시인야 혹종기대체 혹종기소체 하야
曰 耳目之官 不思而蔽於物 物交物 則引之而已矣
왈 이목지관 불사이폐어물 물교물 즉인지이이의
心之官則思 思則得之 不思則不得也
심지관즉사 사즉득지 불사즉부득야
此天之所與我者 先立乎其大者 則其小者弗能奪也 此爲大人而已矣
차천지소여아자 선립호기대자 즉기소자불능탈야 차위대인이이의
孟子曰 飢者甘食 渴者甘飮 是未得飮食之正也 飢渴害之也
맹자왈 기자감식 갈자감음 시미득음식지정야 기갈해지야
豈惟口腹有飢渴之害 人心亦皆有害
기유구복유기갈지해 인심역개유해
人能 無以飢渴之害 爲心害 則不及人 不爲憂矣
인능 무이기갈지해 위심해 즉불급인 불위우의
孟子曰 魚我所欲也 熊掌亦我所欲也 二者 不可得兼 舍魚而取熊掌者也
맹자왈 어아소욕야 웅장역아소욕야 이자 불가득겸 사어이취웅장자야
生亦我所欲也 義亦我所欲也 二者 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
생역아소욕야 의역아소욕야 이자 불가득겸 사생이취의자야
生亦我所欲 所欲有甚於生者 故不爲苟得也 死亦我所惡 所惡有甚於死者 故患有所不辟也
생역아소욕 소욕유심어생자 고불위구득야 사역아소오 소오유심어사자 고환유소불피야
如 使人之所欲 莫甚於生 則凡可以得生者 何不用也 使人之所惡 莫甚於死者 則凡可以辟患者 何不爲也 由是 則生而有不用也 由是 則可以辟患而有不爲也
여 사인지소욕 막심어생 즉범가이득생자 하불용야 사인지소오 막심어사자 즉범가이피환자 하불위야 유시 즉생이유불용야 유시 즉가이피환이불위유야
是故 所欲有甚於生者 所惡有甚於死者 非獨賢者有是心也 人皆有之 賢者能勿喪耳
시고 소욕유심어생자 소오유심어사자 비독현자유시심야 인개유지 현자능물상이
一簞食 一豆羹 得之則生 弗得則死 嘑爾而與之 行道之人弗受 蹴爾而與之 乞人不屑也
일단사 일두갱 득지즉생 부득즉사 호이이여지 행도지인불수 축이이여지 걸인불설야
萬鍾則不辨禮義而受之 萬鍾於我何加焉
만종즉불변예의이수지 만종어아하가언
爲宮室之美 妻妾之奉 所識窮乏者得我與 鄕爲身死而不受 今爲宮室之美 爲之 鄕爲身死而不受 今爲妻妾之奉 爲之 鄕爲身死而不受 今爲所識窮乏者得我而 爲之 是亦不可以已乎
위궁실지미 처접지봉 소식궁핍자득아여 항위신사이불수 금위궁실지미 위지 항위신사이불수 금위처첩지봉 위지 항위신사이불수 금위소식궁핍자득아이 위지 시역불가이이호
此之謂失其本心
차지위실기본심
孟子曰 雞鳴而起 孶孶爲善者 舜之徒也
맹자왈 계명이기 자자위선자 순지도야
雞鳴而起 孶孶爲利者 蹠之徒也
계명이기 자자위리자 척지도야
欲知 舜與蹠之分 無他 利與善之間也
욕지 순여척지분 무타 이여선지간야
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
맹자왈 양심 막선어과욕
其爲人也寡欲 雖有不存焉者 寡矣
기위인야과욕 수유부존언자 과의
其爲人也多欲 雖有存焉者 寡矣
기위인야다욕 수유존언자 과의
周子養心說曰 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 其爲人也寡欲 雖有不存焉者 寡矣 其爲人也多欲 雖有存焉者 寡矣
주자양심설왈 맹자왈 양심 막선어과욕 기위인야과욕 수유부존언자 과의 기위인야다욕 수유존언자 과의
予謂養心 不止於寡而存耳 蓋寡焉以至於無
여위양심 부지어과이존이 개과언이지어무
無則誠立明通 誠立 賢也 明通 聖也
무즉성립명통 성립 현야 명통 성야
是 聖賢 非性生 必養心而至之
시 성현 비성생 필양심이지지
養心之善有大焉 如此 存乎其人而已
양심지선유대언 여차 존호기인이이
周子通書曰 聖可學乎 曰可
주자통서왈 성가학호 왈가
有要乎 曰有 請問焉 曰 一爲要
유요호 왈유 청문언 왈 일위요
一者 無欲也 無欲則靜虛動直
일자 무욕야 무욕즉정허동직
靜虛則明 明則通 動直則公 公則溥
정허즉명 명즉통 동직즉공 공즉부
明通公溥 庶矣乎
명통공부 서의호
程子曰 顔淵 問克己復禮之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정자왈 안연 문극기복례지목 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四者 身之用也
사자 신지용야
由乎中 而 應乎外 制於外 所以 養其中也
유호중 이 응호외 제어외 소이 양기중야
顔淵 事斯語 所以 進於聖人 學者 宜 服膺 而 勿失也
안연 사사어 소이 진어성인 학자 의 복응 이 물실야
因 箴以 自警
인 잠이 자경
其視箴曰 心兮本虛 應物無迹 操之有要 視爲之則
기시잠왈 심혜본허 응물무적 조지유요 시위지칙
蔽交於前 其中則遷 制之於外 以安其內
폐교어전 기중즉천 제지어외 이안기내
克己復禮 久而誠矣
극기복례 구이성의
其聽箴曰 人有秉彝 本乎天性
기청잠왈 인유병이 본호천성
知誘物化 遂亡其正 卓彼先覺 知止有定
지유물화 수망기정 탁피선각 지지유정
閑邪存誠 非禮勿聽
한사존성 비례물청
其言箴曰 人心之動 因言以宣
기언잠왈 인심지동 인언이선
發禁躁妄 內斯靜專
발금조망 내사정전
矧是樞機 興戎出好 吉凶榮辱 惟其所召
신시추기 흥융출호 길흉영욕 유기소소
傷易則誕 傷煩則支 己肆物忤 出悖來違
상이즉탄 상번즉지 기사물오 출패래위
非法不道 欽哉訓辭
비법부도 흠재훈사
其動箴曰 哲人知幾 誠之於思 志士勵行 守之於爲 順理則裕 從欲惟危
기동잠왈 철인지기 성지어사 지사려행 수지어위 순리즉유 종욕유위
造次克念 戰兢自持 習與性成 聖賢同歸
조차극념 전긍자지 습여성성 성현동귀
范氏心箴曰 茫茫堪輿 俯仰無垠
범씨심잠왈 망망감여 부앙무은
人於其間 眇然有身 是身之微 太倉稊米
인어기간 묘연유신 시신지미 태창제미
參爲三才 曰惟心爾
참위삼재 왈유심이
往古來今 孰無此心 心爲形役 乃獸乃禽
왕고래금 숙무차심 심위형역 내수내금
惟口耳目 手足動靜 投間抵隙 爲厥心病
유구이목 수족동정 투간저극 위궐심병
一心之微 衆欲攻之 其與存者嗚呼 幾希
일심지미 중욕공지 기여존자오호 기희
君子存誠 克念克敬 天君泰然 百體從令
군자존성 극념극경 천군태연 백체종령
朱子敬齋箴曰 正其衣冠 尊其瞻視 潛心以居 對越上帝
주자경재잠왈 정기의관 존기첨시 잠심이거 대월상제
足容必重 手容必恭 擇地而蹈 折旋蟻封
족용필중 수용필공 택지이도 절선의봉
出門如賓 承事如祭 戰戰兢兢 罔敢或易
출문여빈 승사여제 전전긍긍 망감혹이
守口如甁 防意如城 洞洞屬屬 罔敢或輕
수구여병 방의여성 동동촉촉 망감혹경
不東以西 不南以北 當事而存 靡他其適
부동이서 불남이북 당사이존 미타기적
弗貳以二 弗參以三 惟心惟一 萬變是監
불이이이 불삼이삼 유심유일 만변시감
從事於斯 是曰持敬 動靜弗違 表裏交正
종사어사 시왈지경 동정불위 표리교정
須臾有間 私慾萬端 不火而熱 不冰而寒
수유유간 사욕만단 불화이열 불빙이한
毫釐有差 天壤易處 三綱旣淪 九法亦斁
호리유차 천양역처 삼강기륜 구법역두
於乎小子 念哉敬哉 墨卿司戒 敢告靈臺
오호소자 염재경재 묵경사계 감고영대
求放心齋銘曰 天地變化 其心孔仁 成之在我 則主于身
구방심재명왈 천지변화 기심공인 성지재아 즉주우신
其主伊何 神明不測 發揮萬變 立此人極
기주이하 신명불측 발휘만변 입차인극
晷刻放之 千里其奔 非誠曷有 非敬曷存
구각방지 천리기분 비성갈유 비경갈존
孰放孰求 孰亡孰有 詘伸在臂 反覆惟手
숙방숙구 숙망숙유 굴신재비 반복유수
防微謹獨 茲守之常 切問近思 曰惟以相
방미근독 자수지상 절문근사 왈유이상
尊德性齋銘曰 惟皇上帝 降此下民 何以予之 曰義與仁
존덕성재명왈 유황상제 강차하민 하이여지 왈의여인
維義與仁 維帝之則 欽斯承斯 猶懼弗克 孰昏且狂 苟賤汙卑
유의여인 유제지칙 흠사승사 유구불극 숙혼자광 구천오비
淫視傾聽 惰其四支 褻天之明 嫚人之紀 甘此下流 衆惡之委
음시경청 타기사지 설천지명 만인지기 감차하류 중악지위
我其鑒此 祗栗厥心 有幽其室 有赫其臨 執玉奉盈 須臾顚沛
아기감차 지율궐심 유유기실 유혁기림 집옥봉영 수유전패
任重道悠 其敢或怠
임중도유 기감혹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