操身供上章조신공상장
親疎不遠章친소불원장
孤稀可堪章고희가감장
不敢報恩章불감보은장
承恩不忘章승은불망장
天下從事章천하종사장
孝行至善章효행지선장
眞心感天章진심감천장
孝務爲則章효무위칙장
近修遠知章근수원지장
嫌上共滅章혐상공멸장
失機復挑章실기복도장
直視賢明章직시현명장
內根外幹章내근외간장
助産剛直章조산강직장
事孝承統章사효승통장
竭力所任章갈력소임장
哀戚法度章애척법도장
仲尼居,曾子侍。
중니거 증자시
子曰:「先王有至德要道,以順天下,民用和睦,上下無怨。
汝知之乎?」
자왈: 선왕유지덕요도 이순천하 민용화목 상하무원 
여지지호
曾子避席曰:「參不敏,何足以知之?」
증자피석왈: 삼불민 하족이지지
子曰:「夫孝,德之本也,教之所由生也。復坐,吾語汝。
자왈: 부효 덕지본야 교지소유생야 복좌 오어여
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毀傷,孝之始也。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孝之終也。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夫孝,始於事親,中於事君,終於立身。
부효 시어사친 중어사군 종어입신
《大雅》云:『無念爾祖,聿脩厥德。』」
대아 운 무념이조 율수궐덕
子曰:「愛親者,不敢惡於人; 敬親者,不敢慢於人。
자왈: 애친자 불감오어인 경친자 불감만어인
愛敬盡於事親,而德教加於百姓,刑於四海。蓋天子之孝也。
애경진어사친 이덕교가어백성 형어사해 개천자지효야
《甫刑》云:『一人有慶,兆民賴之。』」
보형 운 일인유경 조민뢰지
在上不驕,高而不危;制節謹度,滿而不溢。
재상불교 고이불위 제절근도 만이불일
高而不危,所以長守貴也。滿而不溢,所以長守富也。
고이불위 소이장수귀야 만이불일 소이장수부야
富貴不離其身,然後能保其社稷,而和其民人。蓋諸侯之孝也。
부기불리기신 연후능보기사직 이화기민인 개제후지효야
《詩》云:「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
시운 전전긍긍 여림심연 여리박빙
非先王之法服不敢服,非先王之法言不敢道,非先王之德行不敢行。
비선왕지법복불감복 비선왕지법언불감도 비선왕지덕행불감행
是故 非法不言,非道不行;口無擇言,身無擇行;言滿天下 無口過,行滿天下 無怨惡。  
시고 비법불언 비도불행 구무택언 신무택행 언만천하 무구과 행만천하 무원악
三者備矣,然後能守其宗廟。蓋卿、大夫之孝也。
삼자비우 연후능수기종묘 개경대부지효야
《詩》云:「夙夜匪懈,以事一人。」
시운 숙야비해 이사일인
資於事父以事母,而愛同;資於事父以事君,而敬同。
자어사부이사모 이애동 자어사부이사군 이경동
故母取其愛,而君取其敬,兼之者父也。
고모취기애 이군취기경 겸지자부야
故以孝 事君則忠,以敬 事長則順。
고이효 사군즉충 이경 사장즉순
忠順不失,以事其上,然後能保其祿位,而守其祭祀。蓋士之孝也。
충순불실 이사기상 연후능보기녹위 이수기제사 개사지효야
《詩》云:「夙興夜寐,無忝爾所生」。
시운 숙흥야매 무첨이소생
用天之道,分地之利,謹身節用,以養父母,此庶人之孝也。
용천지도 분지지리 근신절용 이양부모 차서인지효야
故自天子至於庶人,孝無終始,而患不及者,未之有也。
고자천자지어서인 효무종시 이환불급자 미지유야
曾子曰:「甚哉,孝之大也!」
증자왈: 심재 효지대야
子曰:「夫孝,天之經也,地之義也,民之行也。
자왈: 부효 천지경야 지지의야 민지행야
天地之經,而民是則之。則天之明,因地之利,以順天下。
천지지경 이민시칙지 즉천지명 인지지리 이순천하
是以 其教不肅而成,其政不嚴而治。
시이 기교불숙이성 기정불엄이치
先王見教之可以化民也,是故先之以博愛,而民莫遺其親,陳之德義,而民興行。
선왕견교지가이화민야 시고선지이박애 이민막유기친 진지덕의 이민흥행
先之以敬讓,而民不爭;導之以禮樂,而民和睦;示之以好惡,而民知禁。
선지이경양 이민부쟁 도지이예악 이민화목 시지이호오 이민지금
《詩》云:『赫赫師尹,民具爾瞻。』」
시운 혁혁사윤 민구이첨
子曰:「昔者 明王之以孝
자왈: 석자 명왕지이효
治天下也 不敢遺小國之臣,而況於公、侯、伯、子、男乎?
치천하야 불감유소국지신 이황어공 후 백 자 남호
故得萬國之歡心,以事其先王。
고득만국지환심 이사기선왕
治國者,不敢侮於鰥寡,而況於士民乎?
치국자 불감모어환과 이황어사민호
故得百姓之歡心,以事其先君。
고득백성지환심 이사기선군
治家者,不敢失於臣妾,而況於妻子乎?
치가자 불감실어신첩 이황어첩자호
故得人之歡心,以事其親。
고득인지환심 이사기친
夫然,故 生則親安之,祭則鬼享之。
부연 고 생즉친안지 제즉귀향지
是以天下和平,災害不生,禍亂不作。
시이천하화평 재해불생 화란부작
故 明王之以孝 治天下也 如此。
고 명왕지이효 치천하야 여차
《詩》云:『有覺德行,四國順之。』」
시운 유각덕행 사국순지
曾子曰:「敢問聖人之德,無以加於孝乎?」
증자왈: 감문성인지덕 무이가어효호
子曰:「天地之性,人為貴。人之行,莫大於孝。
자왈: 천지지성 인위귀 인지행 막대어효
孝莫大於嚴父。嚴父莫大於配天,則周公其人也。
효막대어엄부 엄부막대어배천 즉주공기인야
昔者,周公郊祀後稷以配天,宗祀文王於明堂,以配上帝。是以四海之內,各以其職來祭。
석자 주공교사후직이배천 종사문왕어명당 이배상제 시이사해지내 각이기직래제
夫聖人之德,又何以加於孝乎?
부성인지덕 우하이가어효호
故親生之膝下,以養父母日嚴。聖人因嚴以教敬,因親以教愛。
고친생지슬하 이양부모일엄 성인인엄이교경 인친이교애
聖人之教,不肅而成,其政不嚴而治,其所因者本也。
성인지교 불숙이성 기정불엄이치 기소인자본야
父子之道,天性也,君臣之義也。父母生之,續莫大焉。君親臨之,厚莫重焉。
부자지도 천성야 군신지의야 부모생지 속막대언 군친림지 후막중언
故不愛其親而愛他人者,謂之悖德;不敬其親而敬他人者,謂之悖禮。
고불애기친이애타인자 위지패덕 불경기친이경타인자 위지패례
以順則逆,民無則焉。不在於善,而皆在於凶德,雖得之,君子不貴也。
이순즉역 민무칙언 부재어선 이개재어흉덕 수득지 군자불귀야
君子則不然,言思可道,行思可樂,德義可尊,作事可法,容止可觀,進退可度,以臨其民。
군자즉불연 언사가도 행사가락 덕의가존 작사가법 용지가관 진퇴가도 이림기민
是以其民畏而愛之,則而象之。故能成其德教,而行其政令。
시이기민외이경지 칙이상지 고능성기덕교 이행기정령
《詩》云:『淑人君子,其儀不忒。』」
시운 숙인군자 기의불특
子曰:「孝子之事親也,居則致其敬,
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養則致其樂,病則致其憂,
양즉치기락 병즉치기우
喪則致其哀,祭則致其嚴。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五者備矣,然後能事親。
오자비의 연후능사친
事親者,居上不驕,為下不亂,在醜不爭。
사친자 거상불교 위하불란 재추부쟁
居上而驕則亡,為下而亂則刑,在醜而爭則兵。
거상이교즉망 위하이난즉형 재추이쟁즉병
三者不除,雖日用三牲之養,猶為不孝也。」
삼자부제 수일용삼생지양 유위불효야
子曰:「五刑之屬三千,而罪莫大於不孝。
자왈: 오형지속삼천 이죄막대어불효
要君者無上,非聖人者無法,非孝者無親。
요군자무상 비성인자무법 비효자무친
此大亂之道也。」
차대란지도야
子曰:「教民親愛,莫善於孝。
자왈: 교민친애 막선어효
教民禮順,莫善於悌。
교민예순 막선어제
移風易俗,莫善於樂。
이풍이속 막선어락
安上治民,莫善於禮。
안상치민 막선어례
禮者,敬而已矣。
예자 경이이의
故敬其父,則子悅;敬其兄,則弟悅;敬其君,則臣悅;
고경기부 즉자열 경기형 즉제열 경기군 즉신열
敬一人,而千萬人悅。
경일인 이천만인열
所敬者寡,而悅者眾,此之謂要道也。」
소경자과 이열자중 차지위요도야
子曰:「君子之教以孝也,非家至而日見之也。
자왈: 군자지교이효야 비가지이일견지야
教以孝,所以敬天下之為人父者也。
교이효 소이경천하지위인부자야
教以悌,所以敬天下之為人兄者也。
교이제 소이경천하지위인형자야
教以臣,所以敬天下之為人君者也。
교이신 소이경천하지위인군자야
《詩》云:『愷悌君子,民之父母。』
시운: 개제군자 민지부모
非至德,其孰能順民如此其大者乎!」
비지덕 기숙능순민여차기대자호
子曰:「君子之事親孝,故忠可移於君。
자왈: 군자지사친효 고충가이어군
事兄悌,故順可移於長。
사형제 고순가이어장
居家理,故治可移於官。
거가리 고치가이어관
是以行成於內,而名立於後世矣。」
시이행성어내 이명립어후세의
曾子曰:「若夫慈愛、恭敬、安親、揚名,則聞命矣。
증자왈 야부자애 공경 안친 양명 즉문명의
敢問子從父之令,可謂孝乎?」
감문자종부지령 가위효호
子曰:「是何言與,是何言與!
자왈 시하언여 시하언여
昔者天子有爭臣七人,雖無道,不失其天下;
석자천자유쟁신칠인 수무도 불실기천하
諸侯有爭臣五人,雖無道,不失其國;
제후유쟁신오인 수무도 불실기국
大夫有爭臣三人,雖無道,不失其家;
대부유쟁신삼인 수무도 불실기가
士有爭友,則身不離於令名;
사유쟁우 즉신불리어영명
父有爭子,則身不陷於不義。
부유쟁자 즉신불함어불의
故當不義,則子不可以不爭於父,臣不可以不爭於君;
고당불의 즉자불가이부쟁어부 신불가이부쟁어군
故當不義,則爭之。從父之令,又焉得為孝乎!」
고당불의 즉쟁지 종부지령 우언득위효호
子曰:「昔者 明王 事父孝,故事天明;事母孝,故事地察;長幼順,故上下治。天地明察,神明彰矣。
자왈: 석자 명왕 사부효 고사천명 사모효 고사지찰 장유순 고상하치 천지명찰 신명창의
故雖天子,必有尊也,言有父也;必有先也,言有兄也。
고수천자 필유존야 언유부야 필유선야 언유형야
宗廟致敬,不忘親也;修身慎行,恐辱先也。宗廟致敬,鬼神著矣。
종묘치경 불망친야 수신신행 공욕선야 종묘치경 귀신저의
孝悌之至,通於神明,光於四海,無所不通。
효제지지 통어신명 광어사해 무소불통
《詩》云:『自西自東,自南自北,無思不服。』」
시운: 자서자동 자남자북 무사불복
子曰:「君子之事上也,進思盡忠,退思補過,將順其美,匡救其惡,故上下能相親也。
자솰: 군자지사상야 진사진충 퇴사보과 장순기미 광구기악 고상하능상친야
《詩》云:『心乎愛矣,遐不謂矣,中心藏之,何日忘之。』」
시운: 심호애의 하불위의 중심장지 하일망지
子曰:「孝子之喪親也,哭不偯,禮無容,言不文,
자왈: 효자지상친야 곡불의 예무용 언불문
服美不安,聞樂不樂,食旨不甘,此哀戚之情也。
복미불안 문락불요 식지불감 차애척지정야
三日而食,教民無以死傷生。
삼일이식 교민무이사상생
毀不滅性,此聖人之政也。
훼불멸성 차성인지정야
喪不過三年,示民有終也。
상불과삼년 시민유종야
為之棺槨衣衾而舉之,陳其簠簋而哀戚之;
위지관곽의금이거지 진기보궤이애척지
擗踴哭泣,哀以送之;卜其宅兆,而安措之;
벽용곡읍  애이송지 복기택조 이안조지
為之宗廟,以鬼享之;春秋祭祀,以時思之。
위지종묘 이귀향지 춘추제사 이시사지
生事愛敬,死事哀戚,
생사애경 사사애척
生民之本盡矣,死生之義備矣,
생민지본진의 사생지의비의
孝子之事親終矣。」
효자지사친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