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學之道,在明明德,在親民,在止於至善。
대학지도 재명명덕 재친민 재지어지선
在明明德 則王之事,在親民 則君務,在止於至善 則本主之境。
재명명덕 즉왕지사, 재친민 즉군무, 재지어지선 즉본주지경.
知止而后有定,定而后能靜,靜而后能安,安而后能慮,慮而后能得。
지지이후유정 정이후능정 정이후능안 안이후능려 여이후능득
知止者 推納以可。定者 大計。靜者 能揀大小 然後而可。安者 始可感味。慮者 承命復計。得者 所以希望。
지지자 추납이가. 정자 대계. 정자 능간대소 연후이가. 안자 시가감미. 여자 승명복계. 득자 소이희망.
物有本末,事有終始,知所先後,則近道矣。
물유본말 사유종시 지소선후 즉근도의
爲本體不可害 雖末用不可輕。終必無過 始須無誤。先者必先於他 後者須後於旣。若近道 戰兢矣。
위본체불가해 수말용불가경. 종필무과 시수무오. 선자필선어타 후자수후어기. 약근도 전긍의.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先治其國;欲治其國者,先齊其家;欲齊其家者,先脩其身;
고지욕명명덕어천하자 선치기국;욕치기국자 선제기가;욕제기가자 선수기신;
若演明於蒙, 必師使民從;若師使民從, 必長收側納;若長收側納, 必先悟後來;
약연명어몽, 필사사민종;약사사민종, 필장수측납;약장수측납, 필선오후래;
欲脩其身者,先正其心;欲正其心者,先誠其意;欲誠其意者,先致其知;致知在格物。
욕수비신자 선정기심;욕정기심자 선성기의;욕성기의자 선치기지;치지재격물
若先悟後來, 必本安末情;若本安末情, 必始篤終到;若始篤終到, 必得亂中眞;得眞出於定觀
약선오후래 필본안말정;약본안말정 필시독종도;약시독종도 필득난중진;득진출어정관
物格而后知至,知至而后意誠,意誠而后心正,
격물이후지지 지지이후의성 의성이후심정
觀定然後眞得 眞得然後到篤 到篤然後情安
관정연후진득 진득연후도독 도독연후정안
心正而后身脩,身脩而后家齊,家齊而后國治,國治而后天下平。
심정이후신수 신수이후가제 가제이후국치 국치이후천하평
情安然後來悟 來悟然後納收 納收然後從使 從使然後蒙隱
정안연후래오 래오연후납수 납수연후종사 종사연후몽은
自天子以至於庶人,壹是皆以脩身為本。
자천자이지어서인 일시개이수신위본
演明於蒙者 其然後 得亂中眞於定觀者
연명어몽자 기연후 든난중진어정관자
此先後兩者 皆本於悟來
차선후양자 개본어오래
其本亂而末治者否矣,其所厚者薄,而其所薄者厚,未之有也!
기본란이말치자부의, 기소후자박, 이기소박자후, 미지유야!
本之少搖 末之大魔
본지소요 말지대마
厚者 厚以爲己 所以 不可薄矣
후자 후이기본 소이 불가박의
薄者 薄以自在 所以 不可厚矣
박자 박이기말 소이 불가후의
康誥曰:「克明德。」
강고왈: 극명덕
克, 克惑也. 惑者 衆意亂而已矣.
극, 극혹야. 혹자 중의난이이의.
明德, 救迷亂者.
명덕, 구미난자.
大甲曰:「顧諟天之明命。」
대갑왈: 고시천지명명
天之明命, 無一毫之疑於所以司令也.
천지명명, 무일호지의소이사령야.
顧諟, 馴矣.
고시, 순의.
帝典曰:「克明峻德。」
제전왈: 극명준덕
克明, 克惑明迷也.
극명, 극혹명미야.
峻德, 嚴省決議也.
준덕, 엄성결의야.
皆自明也。
개자명야
湯之盤銘曰:「苟日新,日日新,又日新。」
탕지반명왈: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新也 伸惺矣. 惺者 啓於迷夢而悟.
신야 신성의. 성자 계어미몽이오.
康誥曰:「作新民。」
강고왈: 작신민.
作新者 備於依準而使悟矣
작신자 비어의준이사오의
詩曰:「周雖舊邦,其命惟新。」
시왈: 주수구방, 기명유신.
舊若枯陋, 其根尙純.
구약고루, 기근상순.
是故君子無所不用其極。
시고군자무소불용기극
詩云:「邦畿千里,惟民所止。」
시운 방기천리 유민소지
命爲所從, 民克在近
명위소종, 민극재근
詩云:「緡蠻黃鳥,止于丘隅。」
시운 민만황조 지우구우
子曰:「於止,知其所止,可以人而不如鳥乎!」
자왈 어지 지기소지 가이인이불여조호
詩也, 與物起想, 感其所處
시야, 여물기상, 감기소처
子也, 傳文所誨, 知之而以人
자야, 전문소회, 지지이이인
詩云:「穆穆文王,於緝熙敬止!」
시운 목목문왕 어집희경지
為人君,止於仁;為人臣,止於敬;
위인군 지어인 위인신 지어경
為人子,止於孝;為人父,止於慈;
위인자 지어효 위인부 지어자
與國人交,止於信。
여국인교 지어신
詩也, 觀察以安發, 修學而明諭
시야, 관찰이안발, 수학이명유
其他也, 占衝而牧從
기타야, 점충이목종
詩云:「瞻彼淇澳,菉竹猗猗。
시운 첨비기오 록죽의의
有斐君子,如切如磋,如琢如磨。
유비군자 여절여차 여탁여마
瑟兮僩兮,赫兮喧兮。
슬혜한혜 혁혜훤혜
有斐君子,終不可諠兮!」
유비군자 종불가훤혜
如切如磋者,道學也;如琢如磨者,自脩也;
여절여차자 도학야 여탁여마자 자수야
瑟兮僩兮者,恂慄也;赫兮喧兮者,威儀也;
슬혜한혜자 순률야 혁혜훤혜자 위의야
有斐君子,終不可諠兮者,道盛德至善,民之不能忘也。
유비군자 종불가훤혜자 도성덕지선 민지불능망야
詩之君子也 暗中摸索而 其志誠意也
시지군자야 암중모색이 기지성의야
其勞以民志 所以不可盡其惠矣
기로이민지 소이불가진기혜의
其他也 傳文以釋條目之意矣
기타야 전문이석조목지의의
詩云:「於戲前王不忘!」
시운 어희전왕불망
君子賢其賢而親其親,小人樂其樂而利其利,
군자현기현이친기친 소인락기락이리기리
此以沒世不忘也。
차이몰세불망야
詩也 前王之念 不可勝也
시야 전왕지념 불가승야
君子也 賢堅親深 小人也 樂流利轉
군자야 현견친심 소인야 락류리전
故 後人不可勝念
고 후인불가승념
子曰:「聽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
자왈 청송 오유인야 필야사무송호
無情者不得盡其辭。大畏民志,此謂知本。
무정자부득진기사 대외민지 차위지본
子也 嫌而難於爭鬪 純以得其持要
자야 혐이난어쟁투 순이득기지요
述也 法使不作無根之說 深慮不可勘當忿毅 此本之役
술야 법사부작무근지설 심려불가감당분의 차본지역
此謂知之至也。
차위지지지야
若追所意 其若君君臣臣之類 而今亡失
약추소의 기약군군신신지류 이금망실